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심리테스트
- 고양이
- 제주도
- 하양맛집
- 학교냥
- 동성로맛집
- 우한폐렴확진자
- 대구맛집
- 강아지
- 코로나19사망자
- 여자혼자여행
- 우한폐렴예방
- 캣홀릭
- 도톤보리맛집
- 코로나19
- 대구코로나19
- 우리는 이웃입니다.
- 우한폐렴
- 우한폐렴치료
- 대구대맛집
- 길고양이
- 코로나19현재상황
- 호주산불
- 혼자 일본 여행
- 동성로
- 코로나바이러스
- 오사카혼자여행
- 캠퍼스냥
- 우한폐렴의사 사망
Archives
- Today
- Total
모르는 일상
멸종된 독도 강치! 발견되었다? 독도 강치가 멸종한 이유 본문
옛날 독도에는 독도 강치라는 물개가 살았다고 한다.
이 강치는 약 40년전 멸종되었다고 알려져있다.
그런데 지난 9일 울릉도에서 한 사진이 공개되며 멸종되었던 독도 강치가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울릉도 선녀탕에서 찍힌 사진으로 울릉도 주민들과 어부들이 찍은 물개이다.
사람들은 이를 보고 독도 강치라 주장하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독도 강치가 아니라 북방물개로 밝혀졌다.
북방 물개는 멸종위기종 2급으로 추운 지역에 서식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가끔 울릉도나 독도까지 내려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독도강치는 동해 연안에서 번식하는 유일한 물갯과 동물이다.
강치의 몸길이는 약 2.5m이며 군집을 이뤄 생활한다.
일부다처제 방식으로 짝짓기를 하고 수명은 약 20년이다.
독도강치는 1900년까지만해도 수만마리가 동해안에서 서식하였다고 한다.

이 강치가 멸종된 사연을 보자면 일본이 1905년 독도를 자국 영토에 편입한 뒤 강치잡이 전담회사를 만들어 잔인한 방법으로 포획했다.
강치를 포획함으로 기름과 가죽을 얻기위함이다.
특히 강치의 가죽은 매우 질이 좋아 사치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알려졌다.
이에 일본은 1904년부터 10년 동안 1만4000여 마리를 잡았다고 한다.
이후에도 연간 100∼400마리를 잡은 것으로 기록으로 남아있다.
독립 후 독도에서는 강치가 1972년까지 확인됐으며 1975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94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을 선언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이 코로나19의 진원"WHO사무 총장의 발언의 이유? (9) | 2020.03.16 |
---|---|
한 이탈리아 배우가 SNS에 올린 죽은 여동생과 격리된 영상! 현 이탈리아의 상황을 알려주다. (3) | 2020.03.15 |
코로나로 인하여 이탈리아 전국을 봉쇄한다. (12) | 2020.03.10 |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공장에서 불길이 치솟았다! (0) | 2020.03.09 |
3월 3일과 4일 무슨 일이 이렇게 터졌나. 폭발과 화재! (3) | 2020.03.04 |
Comments